본문 바로가기

아이의 자존감은 부모의 언어에서 자란다

📑 목차

    (Story라라 감성 리딩 저널)

    아이의 자존감은 부모의 말 한마디에서 시작된다.
    존재를 인정하고 감정을 존중하는 언어가 아이의 내면을 단단히 세운다.

     

    1. 자존감은 태어나는 것이 아니라 길러지는 것이다

    많은 부모가 아이의 자존감을 걱정한다. 그러나 자존감은 타고나는 성격이 아니라 매일의 언어 속에서 형성되는 습관이다. 아이는 부모가 자신에게 건네는 말로 세상을 해석하고 자신을 평가한다. "괜찮아, 네가 해보려는 게 중요해."라는 말 한마디는 아이의 내면에 '나는 시도할 가치가 있는 존재야.'라는 믿음을 심는다. 반대로 "왜 이렇게 단순한 것도 못 해?"라는 말은 '나는 부족한 사람'이라는 인식을 각인시킨다. 자존감은 외부의 칭찬보다 자신이 느끼는 내적 확신에서 자란다. 그 확신을 만들어주는 사람이 바로 부모다.


    2. 언어는 아이의 마음을 비추는 거울이다

    부모가 매일 사용하는 말은 아이의 마음속 거울이 된다. 그 거울이 따뜻하면 아이는 자신을 긍정적으로 바라보지만, 날카로우면 자신을 끊임없이 의심하게 된다.
    "다음엔 더 잘하자."는 말이 겉보기엔 격려처럼 들리지만, 아이는 종종 '지금의 나는 충분하지 않다.'로 해석한다. 반면 "이번엔 이런 부분이 좋았어."는 현재의 자신을 인정받는 감각을 준다. 아이는 자신이 있는 그대로 받아들여질 때 비로소 성장할 여유를 갖는다.

    자존감을 키운다는 건 완벽한 아이로 만드는 게 아니라, 있는 그대로의 자신을 받아들일 수 있게 돕는 일이다. 부모의 말 한마디가 아이의 자기 인식의 방향을 결정한다. 아이의 마음속에는 부모의 말이 ‘내면의 목소리’로 자리 잡는다. 시간이 흘러 부모의 말이 사라져도, 그 목소리는 아이 안에서 계속 작동한다. “괜찮아, 네가 해낼 수 있어.”라는 말은 어려움 앞에서 다시 일어서게 하는 힘이 되지만, “왜 그것밖에 못 해?”라는 말은 도전 앞에서 움츠러들게 한다.

    언어는 단순한 도구가 아니라 관계의 온도이자 아이의 내면을 만드는 재료다. 그래서 부모의 말에는 ‘평가’보다 ‘관찰’이 담겨야 한다. “숙제 안 했어?” 대신 “숙제를 미루고 싶을 만큼 피곤했구나.”라고 말하면 아이는 방어하지 않고 마음을 열게 된다. 언어가 부드러워질 때, 아이의 자아는 단단해진다. 결국 부모가 매일 선택하는 단어들이 아이의 세계를 만든다.

    따뜻한 말은 아이의 거울을 맑게 닦고, 거친 말은 그 거울에 금을 남긴다. 아이가 자신을 사랑할 수 있는 힘은 바로 그 ‘거울 언어’에서 비롯된다. 오늘 부모가 건네는 한 문장이 아이의 평생을 비추는 거울이 될 수 있다.


    3. 비교의 언어는 자존감을 약화시킨다

    비교는 아이의 내면을 가장 빠르게 무너뜨린다. "다른 애들은 벌써 다 했대." "언니는 이걸 금방 끝냈는데." 같은 말은 동기 부여가 아니라 열등감을 만든다. 비교의 언어를 자주 들은 아이는 자신을 기준이 아닌 결과로 평가하게 된다. 그리고 실패를 두려워하게 된다. 라라는 부모에게 이렇게 말한다. "비교의 언어는 아이의 마음을 닫히게 하고, 존중의 언어는 마음을 열게 합니다." 부모가 비교를 멈추는 순간 아이는 자신만의 속도를 회복한다. 아이의 자존감은 타인과의 거리에서 자라는 것이 아니라 자기 안의 성취감에서 피어난다.


     

    4. 라라의 수업 에피소드 — ‘유나의 그림 발표’

    라라 반의 6살 유나는 발표를 싫어했다. 그림을 완성해도 사람들 앞에서 설명하지 못하고 고개를 숙였다. 어느 날 라라는 유나에게 말했다. "오늘은 발표 안 해도 괜찮아. 그런데 선생님은 네가 그리고 싶은 게 뭔지 알고 싶어." 유나는 잠시 망설이다가 작은 목소리로 말했다. "이건 제가 꿈에서 본 꽃이에요. 하늘에서 피는 거예요." 라라는 미소를 지으며 말했다. "정말 멋지다. 그럼 언젠가 그 꽃 이야기를 들려줄래?" 그날 이후 유나는 발표를 강요받지 않았지만 스스로 발표를 준비하기 시작했다. 다음 주 유나는 친구들 앞에 서서 말했다. "이건 제 하늘꽃이에요. 아직 완성은 안 됐어요. 그런데 그게 좋아요." 그 말을 들은 라라는 깨달았다. 자존감은 완성의 순간이 아니라 표현이 허락된 공간에서 자란다는 것을.


    5. 자존감을 키우는 세 가지 언어 습관

    1) 존재를 인정하는 언어

    "네가 있어서 좋아." "오늘 네 얘기를 들으니 기분이 좋아졌어."
    존재를 인정하는 말은 조건 없는 신뢰를 전달한다. 아이는 성과와 관계없이 자신이 가치 있는 존재임을 배운다.

    2) 감정을 존중하는 언어

    "그때 속상했구나." "그 말은 네가 용기 냈다는 뜻이야." 감정을 받아주는 언어는 아이의 마음을 안정시킨다.
    감정을 인정받은 아이는 타인의 감정에도 민감하게 반응하며 공감력을 키운다.

    3) 실패를 받아들이는 언어

    "틀렸지만, 시도했다는 게 멋져." "실수 덕분에 배웠구나." 이런 말은 아이의 경험을 부정하지 않는다.
    실패를 성장의 일부로 받아들이는 태도가 자존감을 단단히 만든다.


    6. 자존감을 약화시키는 세 가지 말습관

    1. "너 때문에 힘들어." 이 말은 사랑의 무게를 아이에게 떠넘긴다. 아이는 존재 자체를 부담으로 느낀다.
    2. "그건 잘못된 생각이야." 이 문장은 사고의 자유를 차단한다. 아이는 스스로 판단하는 힘을 잃는다.
    3. "지금은 안 돼." 이 말이 반복되면 아이는 시도하기 전에 포기한다. 가능성보다 금지를 먼저 배운다.

    부모의 언어가 아이의 자존감을 높이는 동시에 낮출 수도 있다. 중요한 건 말의 내용보다 그 말이 전달되는 톤과 맥락이다. 아이에게 말할 때마다 스스로에게 묻자. "지금 내 말이 아이의 마음을 세우고 있는가, 무너뜨리고 있는가?"

    아이의 자존감은 부모의 언어에서 자란다아이의 자존감은 부모의 언어에서 자란다아이의 자존감은 부모의 언어에서 자란다

     

    7. Story라라의 메시지  “아이의 마음은 부모의 말결에서 자란다.”

    자존감은 거창한 교육에서 시작되지 않는다. 매일 반복되는 짧은 대화, 식탁에서 오가는 한마디, 잠들기 전의 목소리 속에 숨어 있다. 아이의 마음은 부모의 말결을 닮는다. 따뜻한 말이 많은 집에서는 자신감이 자라고, 비교와 지시의 말이 많은 집에서는 두려움이 자란다. 오늘 하루, 아이에게 이렇게 말해보자.

    "너라서 좋아."

    그 한 문장이 아이의 평생 언어 습관을 바꾼다. 부모의 말은 단순한 소리가 아니라 아이의 정체성을 세우는 언어다. 아이의 자존감은 결국 부모의 말이 그려준 세상에서 자란다.

     

    "크레인, 너무 부주의했어요! 더 큰 재앙이 날 뻔했잖아요!" 깃발은 한숨을 크게 쉬며 말했습니다.
    "아이고, 정말 최선을 다하셨는데... 그저 운이 나빴던 거예요. "하지만 로프가 깃발을 추궁하자, 깃발은 말을 바꾸었 습니다. "사실, 저는 크레인에게 조심하라고 했어요. 하지만 듣지 않았죠." - "Story라라" <항구의 일꾼들>중에서

    * 보다 많은 이야기를 영상으로 확인하고 싶다면 Story라라 유튜브채널에서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한국어 버전, 영어 버전 가능)

    아이의 자존감은 부모의 언어에서 자란다 | Story라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