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놀이 속에서 배움이 완성된다

📑 목차

    놀이 속에서 배움이 완성된다 | Creative Reading with Story라라

    놀이 속에서 배움은 완성된다. Story라라는 아이의 상상과 창의를 확장하는 놀이형 교육의 본질을 탐구한다.

    놀이 속에서 배움이 완성된다 | Creative Reading with Story라라놀이 속에서 배움이 완성된다 | Creative Reading with Story라라놀이 속에서 배움이 완성된다 | Creative Reading with Story라라

    1. 놀이는 아이의 또 다른 언어다

    배움은 교실 안에서만 일어나지 않는다. 아이가 돌멩이를 주워 쌓고, 구름 모양을 보며 이야기를 지어내는 그 순간에도 배움은 시작된다. 놀이는 아이가 세상을 탐구하는 방식이며, 동시에 자신을 표현하는 언어다. 아이는 놀이 속에서 개념을 ‘암기’가 아닌 ‘체험’으로 익힌다. Story라라리딩랩이 강조하는 핵심은 단순하다. “놀이는 지식의 반대가 아니라 지식의 원형이다.” 아이가 무질서해 보이는 놀이를 반복하는 이유는 그 안에서 질서를 발견하기 때문이다. 놀이의 흐름을 관찰하면 아이의 사고구조를 읽을 수 있다. 아이가 어떤 규칙을 만들고, 언제 그 규칙을 깨는가를 보면 그가 어떻게 세상을 이해하는지가 드러난다.


    2. 뇌는 놀이할 때 가장 활발히 배운다

    신경과학 연구에 따르면, 놀이 중 뇌의 보상중추가 가장 강하게 활성화된다. 보상중추가 자극될 때 분비되는 도파민은 학습 동기를 극대화한다. 즉, 아이가 즐거울 때 기억은 오래 남고, 창의적 연결은 빠르게 이루어진다. 아이의 상상놀이는 뇌의 전두엽과 변연계를 동시에 자극한다. 전두엽은 사고와 계획을, 변연계는 감정과 몰입을 담당한다. 따라서 아이가 ‘상상 속 친구와 대화하는 장면’은 단순한 유희가 아니라 복합적 사고 훈련의 한 장면이다. Story라라리딩랩은 바로 그 ‘자연스러운 사고의 실험’을 교육으로 옮긴다.


    3. 창의는 놀이의 리듬에서 자란다

    창의적 사고는 갑작스러운 번뜩임이 아니라, 자유로운 탐색의 리듬 속에서 자란다. 놀이에는 일정한 흐름이 있다. 시작, 탐색, 확장, 몰입, 그리고 전환. 아이는 그 리듬을 통해 생각의 속도를 조절한다. 교실에서 라라는 종종 아이들에게 “오늘은 규칙 없는 시간”을 준다. 그 시간 동안 아이들은 책의 장면을 연극으로 만들거나, 등장인물을 완전히 다른 직업으로 바꾼다.
    “만약 이 토끼가 우주비행사라면?”
    “이 고양이가 말할 수 있다면?”
    이런 상상놀이는 단순한 놀이가 아니라 언어적 사고의 변형 훈련이다. 아이는 이야기를 재구성하며 ‘가정적 사고(if-thinking)’를 익히고, 그것이 창의의 시작이 된다.


    4. 라라의 수업 에피소드 – ‘엘라의 상상극장’

    라라 반의 6살 엘라는 낯을 많이 가리는 아이였다. 책을 읽을 때마다 조용히 그림만 바라보고, 질문해도 작게 고개를 끄덕였다. 어느 날 라라는 『Room on the Broom』을 읽으며 말했다.
    “오늘은 우리가 마녀와 함께 여행을 떠나는 연극을 해볼까?”
    아이들은 서로 역할을 나누기 시작했다. 빗자루를 만든다고 종이와 끈을 모으는 아이들 속에서 엘라는 가만히 서 있었다. 라라는 다가가 조용히 물었다.
    “엘라야, 너는 어떤 마법을 쓰고 싶어?”
    엘라는 잠시 생각하더니 말했다.
    “저는 바람을 부르는 마법이요.”
    그리고 손을 벌리며 ‘후~’ 하고 불었다. 아이들이 환호했다. 그날 이후 엘라는 수업마다 스스로 역할을 정하고 대사를 만들어냈다.
    라라는 그날의 수업일지에 이렇게 기록했다.

    “놀이 속에서 아이는 자신이 될 용기를 배운다.”


    5. 놀이가 사고를 조직하는 세 단계

    ① 탐색의 단계 -  ‘무엇이 될 수 있을까’를 묻는 시간

    아이의 놀이는 ‘규칙 없는 탐험’에서 시작된다. 처음엔 목적이 없어 보이지만, 사실 이 과정에서 아이는 사물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조합하는 법을 배운다. 예를 들어 블록을 무너뜨리고 다시 쌓는 과정은 공간지각력과 인과관계 이해를 동시에 자극한다.

    ② 변형의 단계  - ‘틀을 바꾸는 시도’

    놀이가 깊어질수록 아이는 자신만의 규칙을 만들고, 그 규칙을 깨 보는 실험을 한다. 이는 창의적 사고의 핵심 구조다. Story라라리딩랩은 아이가 만든 규칙을 존중한다. 어른의 기준에서 틀렸어도, 그 규칙은 아이의 논리다.

    ③ 상징의 단계 - '연결하기’

    놀이가 언어와 연결될 때 사고는 완성된다. 아이는 놀이의 장면을 말로 설명하면서 원인과 결과를 구조화한다. “왜 그렇게 했어?”라는 질문보다 “그다음에는 어떻게 됐어?”가 더 중요하다. 이야기를 이어가는 행위는 사고의 선을 확장시키는 훈련이다.


    6. 라라리딩랩의 놀이형 리딩 수업

    Story라라리딩랩은 ‘읽기’를 단순한 텍스트 해석이 아니라 놀이로 확장된 상상 실험으로 본다. 책 속 인물의 감정선을 따라 연기하거나, 결말을 다르게 쓰는 활동이 대표적이다. 아이는 책을 ‘이해’하기보다 ‘체험’하게 된다.
    한 수업에서 라라는 『The Day the Crayons Quit』을 읽은 후 아이들에게 물었다.
    “만약 네가 크레파스라면 편지에 뭐라고 쓸래?”
    아이들은 색깔별로 다른 목소리를 냈다. “나는 너무 많이 써서 힘들어!” “나는 너무 어두워서 슬퍼.”
    이 대화 속에서 아이들은 감정이입, 시점 전환, 언어의 뉘앙스를 자연스럽게 배운다. 놀이형 리딩은 감정과 언어의 통합적 발달을 이끈다.


    7. 부모를 위한 실천법 - 집에서도 가능한 놀이형 배움

    ① 이야기 전환 놀이

    책을 읽은 후 “이 이야기의 반대 버전을 만들어볼까?”라고 제안해보자. ‘만약 늑대가 착했다면?’ 같은 발상은 아이의 상상력을 확장한다.

    ② 물건 의인화 놀이

    가장 일상적인 물건에도 생명을 부여해 대화하게 해보자. “컵이 오늘 피곤하대.” 이런 문장은 언어의 추상적 사고 능력을 길러준다.

    ③ 감정 리듬 놀이

    감정을 색, 소리, 동작으로 표현하게 해보자. “오늘의 기분을 색으로 그려볼까?” 놀이와 감정표현이 연결되면 아이의 정서적 문해력이 높아진다.


    8. 놀이와 학문의 경계가 사라질 때

    교육은 종종 놀이를 ‘학습의 준비 단계’로 축소시킨다. 그러나 라라리딩랩은 놀이를 학문의 한 형태로 본다. 놀이의 핵심은 실험과 실패, 그리고 다시 시도하는 순환 구조다. 이 구조는 과학적 탐구와 동일하다. 아이가 ‘왜 이건 안 될까?’라고 묻는 순간, 그 사고는 이미 탐구의 문법을 따르고 있다. 라라는 말한다. “놀이가 멈추면 사고도 멈춘다.” 아이가 스스로 규칙을 세우고 깨며 배우는 순간, 배움은 주입이 아니라 생성이 된다.


    9. Story라라리딩랩의 철학 -  놀이가 사고의 완성이다

    놀이는 배움의 휴식이 아니라 배움의 정점이다. 아이는 놀이 속에서 관찰하고, 모방하고, 관계를 맺으며, 마침내 스스로 생각한다. 교사는 그 흐름을 설계하는 사람이 아니라 지켜보는 사람이다. 라라리딩랩의 수업에서 교사의 역할은 ‘지도자’가 아니라 ‘기록자’다. 아이의 놀이를 해석하고 언어화하는 순간, 그 관찰이 교육이 된다. 배움은 설명이 아니라 경험의 누적이다. 놀이가 그 경험의 집합체다.


    10. Story라라리딩랩의 메시지

    “배움은 놀 때 완성된다. 아이의 상상은 지식보다 넓다.”

    놀이하는 아이는 생각하는 아이다. 놀이 속에서 사고는 자율성을 얻고, 실패는 도전으로 전환된다. 아이가 만든 작은 세계 속에는 수많은 가설과 실험, 감정의 리듬이 흐른다. 그것이 바로 배움의 본질이다.

     

    Story라라리딩랩 Creative Reading Philosoph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