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고는 어떻게 글이 되는가 - 어린 작가의 초석이 되는 사고-서사 구조

📑 목차

    사고는 어떻게 글이 되는가 - 어린 작가의 초석이 되는 사고-서사 구조 | Story라라리딩랩

    글쓰기는 사고의 가장 높은 발달 형태다. Story라라리딩랩은 사고 축 찾기, 감정-해석 구조, 장면 근거 사용 등 글쓰기의 인지적 기반을 분석한다.

    사고는 어떻게 글이 되는가 - 어린 작가의 초석이 되는 사고-서사 구조 ❘ Story라라리딩랩

    1. 글쓰기는 사고의 가장 높은 형태다

    말하기는 사고의 표면이고, 글쓰기는 사고의 깊은 구조다.
    말은 순간적이고 흐름을 따라가며, 발화되는 동안 수정이 무한히 가능하다.
    그러나 글쓰기는 사고의 흐름을 멈추고 구조로 고정시키는 작업이다.
    그래서 글은 사고의 가장 정교한 형태이자 ‘사고의 건축물’이다.

    아이의 글쓰기 능력을 평가할 때 중요한 것은 글의 길이나 단어의 수준이 아니라, 사고가 얼마나 조직되어 있는가이다. 아이가 쓴 글의 구조를 보면 사고가 어떻게 움직이고 있는지 그대로 드러난다.
    Story라라리딩랩은 글쓰기를 단순한 표현 기술이 아니라 사고의 숙성 과정으로 본다.

    2. 글쓰기의 본질은 ‘사고의 안정된 구조화’이다

    말은 실시간으로 흐를 수 있지만, 글은 멈추어야 쓸 수 있다.
    멈추는 순간 사고는 형태를 띤다.
    아이들이 글쓰기를 어려워하는 이유는 단어를 몰라서가 아니라, 사고가 정지하여 구조를 유지하는 힘이 아직 약하기 때문이다.

    글은 사고의 다음 세 가지 요소를 요구한다.

    1. 순서 – 무엇을 먼저 말할 것인가
    2. 논리 – 각각의 요소가 어떻게 연결되는가
    3. 의미 – 이 글의 중심은 무엇인가

    즉, 글쓰기는 사고를 뼈대·근육·피부로 조립하는 작업이다.

    3. 글쓰기의 첫 단계는 ‘사고의 축’을 찾는 것이다

    글의 중심은 사고의 중심이다.
    아이가 글을 잘 쓰려면 먼저 사고의 중심축이 있어야 한다.
    이 축은 다음과 같은 형태로 나타난다.
    – “나는 이 장면이 가장 의미 있다고 느꼈어.”
    – “이 이야기에서 중요한 건 용기야.”
    – “여기서 주인공이 깨달은 게 있어.”

    축이 없는 사고는 글에서 방향을 잃고 흩어진다.
    축이 있는 사고는 글에서 안정성을 갖는다.
    글쓰기의 핵심은 사고의 축을 명확하게 세우는 것이다.

    4. 글은 사고의 ‘흐름’을 따라 만들어진다

    좋은 글의 핵심은 단어가 아니라 흐름이다.
    흐름은 사고가 이동하는 방향성을 가리킨다.

    아이의 글쓰기에서 흐름은 보통 다음 구조로 나타난다.
    – 감정 → 장면 → 생각 → 해석 → 의미
    이 흐름이 자연스러우면 글은 설득력을 가진다.
    흐름이 끊기면 글은 단편적이 된다.

    라라리딩랩이 글쓰기 수업에서 가장 많이 강조하는 것도 바로 이 “사고 흐름 구조”다.

    5. 라라의 수업 에피소드 - “수진의 사고-서사 변환”

    수진은 『The Arrival』을 읽고 긴 글을 쓰기 어려워했다.
    라라는 수진이 말한 문장을 그대로 종이에 적어주며 사고 흐름을 붙잡았다.

    수진의 말:
    “주인공이 혼자 떠나는 게 외로워 보여요. 근데 뒤에 가족이 서 있는 걸 보니까, 혼자이면서도 혼자가 아닌 것 같아요.”

    라라는 이 문제를 도와 사고의 순서를 잡아주었다.

    1. 감정 – 외로움
    2. 관찰 – 가족의 모습
    3. 해석 – 혼자이지만 혼자가 아님
    4. 의미 – 떠남의 이중성

    수진은 이 구조를 따라 글을 쓰기 시작했고, 결국 단일 문장 두 개로 시작된 사고가 한 편의 짧은 서사가 되었다.
    글쓰기는 사고의 순서를 문장으로 옮기는 일이다.

    6. 글쓰기는 사고의 ‘재해석 능력’을 강화한다

    말은 즉흥적으로 이루어지지만, 글은 다시 고치는 과정을 포함한다.
    이 과정에서 아이의 사고는 스스로 수정되고 재해석된다.

    처음 생각: “주인공이 슬퍼.”
    글을 쓰면서: “슬픈데… 혼자가 되어서 무서웠던 것 같아.”
    글을 고치면서: “어쩌면 그 무서움이 용기를 만들었을 것 같아.”

    글쓰기는 사고의 재해석 시스템이다.
    글을 고친다는 것은 생각을 발전시키는 과정이다.

    7. 글쓰기의 구조는 이야기의 구조를 닮아간다

    아이가 쓴 글을 보면 자연스럽게 다음 단계 중 어느 지점에 있는지 알 수 있다.

    1. 감정 중심 글
    2. 사건 중심 글
    3. 의미 중심 글
    4. 구조 중심 글
    5. 주제 중심 글

    아이의 사고가 성숙할수록 글쓰기 구조도 고도화된다.
    감정 중심 글쓰기는 사고의 표면이고, 주제 중심 글쓰기는 사고의 깊은 층이다.
    Story라라리딩랩은 이 순서를 글쓰기의 발달 곡선으로 본다.

    8. 라라의 수업 에피소드 - “해인의 주제형 사고 글쓰기”

    해인은 『The Rough Patch』을 읽고 말했다.
    “이 책은 슬픔이 끝이 아니라는 걸 말하는 것 같아요.”

    라라는 질문했다.
    “어떤 장면이 그렇게 느끼게 해줬어?”

    해인은
    “정원에 작은 새싹이 난 장면이요. 슬픔에도 새로운 게 시작될 수 있다고 보여줬어요.”

    이 말은 글쓰기의 최종 구조인 주제형 사고 글쓰기의 형태를 이미 갖추고 있다.
    주제→장면 근거→의미→자기 경험 결합
    해인은 사고를 서사와 결합시키는 능력을 이미 익힌 것이다.

    9. 글이 되는 사고는 반드시 ‘근거’를 품고 있다

    사고가 글이 되기 위해서는 반드시 근거가 필요하다.
    근거는 글에서 문장의 무게를 잡아주는 뼈대다.
    근거 없는 글은 단순한 감상이고, 근거 있는 글은 사고 기반 서사다.

    근거의 요소
    – 특정 장면
    – 행동의 변화
    – 감정의 전환
    – 색감·표정·이미지
    – 의미를 뒷받침하는 서사적 단서

    근거가 명확할 때 글은 타당성을 가진다.
    근거는 사고의 신뢰도다.

    10. 글쓰기는 사고의 ‘구조적 상상력’을 확장한다

    글쓰기는 상상력을 필요한 만큼 구체적인 형태로 조이는 작업이다.
    이 과정에서 아이는
    – 이미지 상상
    – 인물의 관점
    – 심리적 해석
    – 상징적 의미
    을 자연스럽게 정리하게 된다.

    글쓰기는 상상력을 입체적인 구조로 만드는 능력을 길러준다.
    상상력을 풀어놓는 것이 아니라 구성하는 것이다.

    11. 글쓰기는 사고의 ‘맥락 연결 능력’을 극대화한다

    글쓰기에서 중요한 것은 문장 하나가 아니라 문장 간의 연결이다.
    사고가 연결되어 있지 않으면 글의 연결도 사라진다.
    반대로 사고가 연결될 줄 아는 아이는 자연스럽게 문장을 연결하고 서사를 구축한다.

    서사 연결 예
    – 감정→이유
    – 이유→변화
    – 변화→결론
    – 결론→주의
    하나의 문장만 잘 쓰는 아이는 많다.
    그러나 여러 문장을 흐름으로 만드는 아이는 사고 구조가 단단한 아이다.

    12. 글쓰기는 자기 사고의 ‘형식’을 만드는 과정이다

    아이의 글쓰기는 단순히 문장을 만드는 것이 아니라 자기 사고의 형식을 만드는 과정이다.
    형식이란 사고가 어떻게 움직이는지를 보여주는 패턴이다.
    아이마다 글쓰기 장르가 다른 이유도 사고의 형식이 다르기 때문이다.

    어떤 아이는 관찰 기반, 어떤 아이는 감정 기반, 또 어떤 아이는 의미 기반이다.
    글쓰기는 사고의 정체성을 드러내는 작업이다.

    13. 글쓰기는 타인과의 ‘사고 공유 기술’이다

    사고가 말이 되어 타인에게 닿을 수 있지만, 글은 더 많은 사람에게 더 오래 전달된다.
    글쓰기는 사고를 사회와 연결하는 기술이다.
    아이의 글쓰기 성장에는 자기 이해·타인 이해·세계 이해가 동시에 포함된다.

    Story라라리딩랩은 글쓰기를 ‘사고의 사회적 형태’라고 정의한다.

    14. 글쓰기를 방해하는 요소들

    첫째, 글의 결과만 보고 평가하는 방식
    둘째, 틀을 정해놓고 거기에 맞추게 하는 방식
    셋째, ‘정답’을 요구하는 글쓰기
    넷째, 속도 중심의 과제
    다섯째, 글을 고치는 것을 부정적으로 보는 문화
    이 다섯 가지는 사고가 글이 되는 것을 막는다.

    15. 글쓰기를 성장시키는 핵심 구조

    구조1. ‘사고의 축’ 먼저 잡기

    “이 글은 결국 무엇을 말하고 싶은 걸까?” 축이 정해지면 글은 흔들리지 않는다.

    구조2. 감정-관찰-해석-의미의 4단 구성

    아이의 사고 흐름을 그대로 글 구조로 옮긴다.

    구조3. 장면 기반 근거 제시

    “왜 그렇게 생각했는지 장면을 말해볼까?” 근거는 글의 설득력을 만든다.

    16. 라라의 관찰 - “글쓰기는 자기 사고를 바라보는 창이다”

    라라는 수업에서 수없이 보았다.
    아이들이 글을 쓰는 과정에서 자기 마음을 읽고, 자기 사고를 인식하고, 자기 관점을 정교하게 만들어간다.
    글쓰기는 단순한 과제가 아니라 자기 사고의 거울이다.

    17. Story라라리딩랩의 철학 - 사고는 글이 되는 순간 구조가 된다

    Story라라리딩랩은 글쓰기를 사고 발달의 최종 단계로 본다.
    말은 흩어지지만 글은 남는다.
    글은 사고의 흔적이며 사고의 존재 증명이다.
    사고는 글이 될 때 비로소 형태를 갖고, 형태가 생길 때 사고는 성장한다.

    18. Story라라리딩랩의 메시지

    “글은 사고의 기록이자 사고의 건축물이다. 글을 쓰는 순간 아이의 사고는 구조를 갖는다.”

     

     Story라라리딩랩 사고·쓰기 발달 시리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