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감정 리딩을 넘어 창의 사고로 - 생각하는 아이로 자라는 수업 | Story라라리딩랩
Story라라리딩랩은 감정에서 출발해 사고로 확장되는 창의 리딩의 과정을 탐구한다. 감정이 사고로 이어질 때, 아이는 스스로 세상을 해석하는 힘을 갖게 된다.



1. 배움은 감정에서 시작해 사고로 성장한다
Story라라리딩랩의 교육 철학은 단순하다. “배움은 마음에서 출발해 생각으로 완성된다.” 아이가 책을 읽을 때 느끼는 감정은 단순한 감상이 아니다. 그것은 사고의 출발점이다. 감정이 움직일 때, 사고는 살아난다. 감정이 닫힌 채로는 어떤 지식도 들어가지 않는다. 그래서 라라리딩랩은 ‘감정 리딩’을 배움의 첫 문장으로 삼는다. 그러나 그다음 문장은 언제나 ‘사고의 성장’이어야 한다. 감정이 사고로 이어지지 않으면, 배움은 흘러가고 만다.
2. 사고는 느낀 것을 정리하는 힘이다
감정이 ‘느낌’이라면, 사고는 그것을 ‘정리하는 과정’이다. 아이가 이야기를 듣고 “슬퍼요.”라고 말하는 것은 감정의 반응이다. 하지만 “왜 슬펐을까?”라고 스스로 묻는 순간, 사고가 시작된다. 라라리딩랩은 아이가 감정에서 멈추지 않게, 사고의 방향으로 이끌어준다. 사고는 감정의 해석이며, 감정의 지속이다. 아이가 스스로 느낀 것을 해석할 때, 그 감정은 지식으로 변한다.
3. 감정 리딩의 다음 단계 - 사고 리딩
라라리딩랩의 수업은 감정에서 사고로 이동하는 자연스러운 흐름을 설계한다. 아이가 한 권의 책을 읽으며 느낀 감정을 문장으로 표현하고, 그 문장을 다시 사고로 확장한다. “이 인물은 왜 그랬을까?” “이야기가 이렇게 끝난 이유는 무엇일까?” 이런 질문이 감정을 사고로 끌어올린다. 아이는 이야기 속 세계를 분석하며, 동시에 자신의 사고를 만들어간다. 사고 리딩은 감정을 구조화하는 학습이다.
4. 라라의 수업 에피소드 - “현우의 세 가지 왜”
8살 현우는 『The Dot』을 읽은 뒤 말했다. “그냥 점인데 왜 선생님이 칭찬했을까요?” 라라는 되물었다. “그림은 점이지만, 그 안엔 뭐가 있었을까?” 현우는 잠시 생각하다 말했다. “용기요.” 그리고 다음 날, 그는 같은 질문을 다시 던졌다. “근데 용기가 왜 중요해요?” 라라는 노트에 적었다. >“사고는 감정을 세 번 묻는 일이다. ‘왜?’는 배움의 불씨다.” 현우의 질문은 단순한 호기심이 아니라 감정의 구조화였다.
5. 사고 리딩은 지식보다 관점을 길러준다
지식은 외워서 쌓이지만, 사고는 만들어서 자란다. 감정이 사고로 전환될 때 아이는 ‘이해하는 힘’을 얻는다. 같은 책을 읽어도 사고의 방향에 따라 완전히 다른 배움이 된다. 라라리딩랩은 아이가 정답을 찾는 대신 관점을 세우게 한다. “이 인물이 잘못한 걸까?” “만약 네가 주인공이라면 어떻게 했을까?” 이런 질문은 사고를 수평적으로 확장시킨다. 아이는 세상을 단 하나의 시선이 아닌 여러 관점으로 보기 시작한다.
6. 라라의 관찰 - “사고는 감정의 방향을 정한다”
라라는 종종 아이들이 비슷한 장면에 전혀 다른 반응을 보이는 걸 본다. 어떤 아이는 “이 장면이 재밌어요.”라고 말하고, 다른 아이는 “이건 좀 슬퍼요.”라고 말한다. 그 차이는 감정의 깊이가 아니라 사고의 방향 때문이다. 감정은 누구나 느끼지만, 그것을 어떻게 해석하느냐는 사고의 영역이다. 라라는 노트에 썼다. >“사고는 감정을 선택하게 한다.” 아이가 스스로 감정의 의미를 정리할 때, 그 마음은 주체가 된다.
7. 사고를 키우는 세 가지 질문
라라리딩랩은 사고 리딩의 핵심을 ‘세 가지 질문’으로 정의한다.
① 이유를 묻는 질문: “왜 그렇게 됐을까?” 원인에 대한 사고를 훈련한다.
② 가능성을 여는 질문: “다른 방법은 없었을까?” 창의적 사고를 자극한다.
③ 관점을 확장하는 질문: “다른 사람은 어떻게 느꼈을까?” 공감적 사고를 키운다. 세 가지 질문이 순환할 때, 사고는 깊어지고 넓어진다.
8. 감정이 사고로 확장될 때 아이는 성장한다
감정은 즉흥적이고 유동적이지만, 사고는 그 감정을 구조화한다. 라라리딩랩의 수업은 아이가 감정에 머물지 않도록 ‘사고의 고리’를 연결한다. “그게 왜 재밌었어?” “이야기 속 인물이 이렇게 한 이유는 뭐라고 생각해?” 이렇게 감정을 질문으로 묶을 때, 아이는 스스로 생각하는 법을 배운다. 감정은 배움의 씨앗이고, 사고는 그 씨앗이 자라는 뿌리다.
9. 라라의 수업 에피소드 - “유진의 반전”
7살 유진은 『The Giving Tree』를 읽고 말했다. “나무는 바보 같아요. 왜 다 주죠?” 라라는 조용히 물었다. “유진아, 그럴 수도 있겠네. 그런데 네가 나무라면 어땠을까?” 잠시 침묵 후 유진은 말했다. “그래도 행복했을 것 같아요. 누군가가 나를 좋아하니까.” 라라는 그날 노트에 적었다. >“사고는 판단이 아니라 탐색이다.” 아이는 생각을 바꾸는 순간 사고의 유연성을 배운다.
10. 사고는 창의의 근육이다
창의는 무(無)에서 나오지 않는다. 감정이 사고로 연결되고, 사고가 축적될 때 창의가 태어난다. 아이가 생각하는 힘을 키워야 하는 이유는 단순히 공부를 잘하기 위해서가 아니다. 세상을 스스로 해석하고 새롭게 구성하기 위해서다. 라라리딩랩은 사고 훈련을 창의적 리딩의 기반으로 본다. 생각의 근육이 단단해야 상상의 날개도 멀리 난다.
11. 사고 리딩의 교육적 구조
라라리딩랩의 사고 리딩 수업은 세 가지 원칙으로 설계된다.
① 감정에서 출발한다. - 느끼지 않으면 생각하지 않는다.
② 질문으로 연결한다. - 사고는 질문의 형태로 자란다.
③ 표현으로 확장한다. - 사고는 언어를 통해 완성된다.
이 세 원칙은 아이가 감정과 사고를 오가며 자기만의 리듬으로 성장하도록 돕는다.
12. 교실 속 사고 리듬 만들기
라라리딩랩 교실에서는 하루 한 문장 리딩을 실천한다. 아이가 책 속 문장을 고르고 그 이유를 말하는 시간이다. “이 문장이 왜 좋았어?”라는 질문에 아이들은 각자 다른 답을 내놓는다. “소리가 예뻐서요.” “그림이 상상돼요.” “내 이야기 같아요.” 이런 짧은 대화가 사고의 리듬을 만든다. 사고는 길게 설명할 때보다 짧게 반복될 때 깊어진다.
13. 라라의 관찰 - “사고의 리듬이 배움의 지속을 만든다”
라라는 감정 중심 수업보다 사고 중심 수업이 아이들에게 더 오래 남는다는 걸 경험했다. 이유는 간단하다. 감정은 순간이지만, 사고는 반복이기 때문이다. 아이가 매일 같은 질문으로 사고의 리듬을 쌓으면, 배움은 일상의 일부가 된다. >“사고는 훈련이 아니라 호흡이다.” 라라리딩랩의 리딩 루틴은 이 호흡을 만들어주는 일상 훈련이다.
14. 교사와 부모의 역할 - 아이의 ‘생각 시간’을 보장하기
사고는 침묵 속에서 자란다. 아이가 대답하기 전에 잠시 멈출 수 있게 기다려주는 것, 그 짧은 시간이 사고의 여백이다. “왜 대답 안 해?”보다 “생각할 시간 줄게.”라는 말이 사고의 깊이를 만든다. 라라리딩랩은 교사와 부모 모두 ‘사고를 기다릴 줄 아는 사람’이 되어야 한다고 말한다. 기다림이 사고의 공간을 만든다.
15. 라라리딩랩의 철학 - 사고는 감정의 다음 문장이다
감정은 배움의 문을 열고, 사고는 그 문을 나아가게 한다. 감정이 깊을수록 사고는 단단하고, 사고가 단단할수록 창의는 넓어진다. 라라리딩랩은 이 순환을 ‘창의 사고 리딩의 리듬’이라 부른다. 아이가 감정을 사고로 바꾸는 법을 배우면, 그는 더 이상 외부의 지시로 배우지 않는다. 스스로 사고하는 아이는 세상을 새롭게 해석할 준비가 되어 있다.
16. Story라라리딩랩의 메시지
“감정이 마음을 움직였다면, 사고는 세상을 움직인다. 느낀 아이가 자라고, 생각한 아이가 변화시킨다.”
Story라라리딩랩 창의 사고 리딩 시리즈
'교육 > 영어리딩' 카테고리의 다른 글
| 글쓰기로 사고를 확장하기 - 기록은 생각의 두 번째 공간 (0) | 2025.11.11 |
|---|---|
| 질문하는 아이 - 생각의 방향을 세우는 법 (0) | 2025.11.11 |
| 공감에서 관계로 - 함께 배우는 리딩의 생태계 (0) | 2025.11.10 |
| 표현에서 공감으로 - 타인의 마음을 이해하는 언어 (0) | 2025.11.10 |
| 상상에서 생각으로 - 아이가 세상을 해석하는 법 (0) | 2025.11.09 |